- 소개 및 다운로드
다운로드 하기 |
공유기를 사용해서 인터넷 선을 나누어서 쓰는 사람에게는 사실 별 달리 필요 없는 프로그램일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공유기( 라우터 )가 보통은 포트포워딩 기능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처럼 노트북으로 AP설정을 통해서 무선 와이파이 기능을 활용하는 사람에게는 편하게 포트 포워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VMware에서 내부 운영체제에서 네트워크를 돌리기 위해서 SocketTunnel 라는 프로그램으로 심플하게 내부로 리다이렉트 해주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소개하고자 하는 유틸리티는 지정된 내부 IP와 포트로 외부 공인 IP와 지정된 포트로 지정된 내부 IP와 포트로 연결할 수 있게 해준다.
- 특징
프로그램 실행 화면 |
공인IP와 포트로 내부망의 특정 IP와 포트로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포트 포워딩)을 가진다. TCP뿐만 아니라 UDP도 지원하며 포워딩 방식도 지정해 줄 수 있다.
여러가지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필자의 경우에는 안 쓰는 안드로이드 폰의 어플[IP Webcam]로 내부 CCTV로 활용하는데 쓰고 있다.
- 사용방법
![]() |
Step 1. Add New Forwarding Port |
Step 2. 로컬 포트와 사설 내부망의 IP와 Port를 입력한다. |
2. Listen Port에서 로컬 호스트에서 사용할 포트 값과 하단 부에 있는 빨간 네모 박스에 표시된 내부 IP 주소와 포트번호를 입력한다. 위에 입력한 IP주소는 가상의 내부 IP주소이다.
3. 다 입력한 뒤 Ok 버튼을 누른다.
etc) Forwading Rules에서는 포워딩 방식을 정해줄 수 있다. 나머지는 필요에 따라서 설정하자.
![]() |
Step 3. 설정된 포트 포워딩을 확인하고 시작. |
4. 등록된 포트 포워딩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다. 여기서 Running 상태줄에서 "Yes" 로 되었다면 정상 작동하는 것이다.
5. 만약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다시 시작하거나 포트포워딩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정말 강력 추천 프로그램이네요 ㅎ.
답글삭제감사히 잘 쓰곘습니다. ^^
저는 설정 다 하고 스타트 시키니 뭐가 꼬인건지 앱 자체가 램에서 내려가 버리네요.ㅡㅡ;
답글삭제이거로 마인크래프트 서버 도 되나요?
답글삭제